본문 바로가기

기업분석

네이버 & 카카오 기업 리포트(교보증권 22.3.7)

교보증권 인터넷/게임 담당 애널리스트 김동우(22.3.7)

 

네이버 카카오

1. 22년 전망

1.1 22년 네이버의 연결 기준 매출액 8.6조원(YoY +26.4%), 영업이익 1.6조원(+20.9%) 기록 전망

1-1 22년 카카오의 연결 기준 매출액 8.1조원(YoY +32.4%), 영업이익 8604억원(+44.1%) 기록 전망 

 

1.2 컨텐츠 부문 해외 진출, 커머스 경쟁력 강화 위한 마케팅, 개발운영비 증가, 직접비 성격의 파트너 비용증가 부담

1-2 컨텐츠부문 글로벌 진출과 신작 게임 출시에 따른 마케팅비용, 인건비 증가는 불가피. 감가상각비 증가 → 마진 압박

 

1.3 서치플렛폼(+11.7%), 커머스(+26.9%), 핀테크(+35.9%) 매출 성장이 전년대비 다소 둔화되지만 안정적으로 이어지며 웹툰, 제페토를 비롯한 컨텐츠 부문 고성장으로 영업이익률 18.6%로 양호한 수준 예상

1-3 톡비즈부문(+38.2%), 컨텐츠 부문(+25.4%), 플랫폼 기타 부문(+55.7%), 모빌리티/페이 안정적인 성장 + 블록체인/카카오엔터프라이즈 성장 기대

 

2. 이커머스 경쟁 격화는 광고 수요 증가

2.1 네이버쇼핑 GMV*는 22년 이커머스 시장 성장률 둔화(YoY +11% 예상)에도 불구 +19.6% 증가한 44조 달성 전망

*GMV(Gross Merchandise Volume) : 전자상거래 업체에서 주어진 기간동안 이뤄진 총 매출액, 총 상품 판매량

2.1.1 광고, 핀테크 부문 시너지와 각종 판매자 솔루션 제공, 물류 역량 확충을 통한 셀러 우호적 환경 조성

2.1.1.1 포털 트래픽을 바탕으로 한 쇼핑광고 역량

2.1.1.2 네이버파이낸셜을 통한 저렴한 수수료와 스마트스토어 사업자 대출& '스타트제로'등 금융지원

2.1.1.3 셀러에 대한 판매자 솔루션 제공

2.1.1.4 물류 역량 확보

2.1.1.5 26년까지 100만 판매자 유치 목표(21년 말 기준 48만개)

 

 

2.1.2 멤버십을 통한 강력한 소비자 락인

2.1.2.1 구독자수 증가에 따라 구독 수수료 매출 증가 뿐 아니라, 이용자 1명당 지출액이 늘어나는 효과가 유효하게 작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2.1.3 쇼핑라이브&브랜드스토어 등 새로운 판매채널 효과에 힘입어 온라인 침투율이 낮은 생필품, 장보기, 의류 부문에서의 거래액 고성장 전망

2.1.3.1 머천트 솔루션은 take rate(매출액/거래액)을 높일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것

2.1.3.1.1 라이브커머스 선택해 판매시 GMV 3~5%, 정기구독솔루션을 이용할 경우 1~2%를 추가로 수취

2.1.3.2 브랜드스토어 거래액(1.9조원)과 쇼핑라이브 합계액이 21년 전체 스마트스토어 거래액의 10% 초과

 

 

2.2 핀테크의 경우 +36%의 결제액 성장 달성 전망

2.2.1 커머스 거래액 성장 지속

2.2.2 온오프라인 가맹점 확장

 

 

2.3 광고 부문은 디스플레이 광고(+18.2%) 중심 성장 예상

2.3.1 22년에도 상품 라인업/지면(Q) 지속 확대 지속

2.3.2 이커머스 경쟁 격화는 한편으로는 광고 수요 증가 요인으로 네이버 성과형 광고는 인벤토리가 모두 소진되고 있는 '수요 우위'의 상황이다. 이는 비딩 가격(P) 상승으로 이어질 것

 

2-1 카카오커머스 GMV는 약 +30% 증가한 1조 수준 달성 전망

2-1-1 메시지형 광고와 비즈보드를 구매로 연동시키는 커머스 플랫폼화

2-1-2 선물하기 구매빈도와 객단가 상승

2-1-3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 지그재그 성장 효과

 

2-2 페이 : 결제서비스 성장 지속 예상, 금융서비스는 규제 환경 적응이 관건

2-2-1 22년 카카오 페이 TPV* : 130.5조(YoY +32.1%), 매출 6658억원(+45.2%) 전망

*TPV : 총 결제액

2-2-2 결제서비스 : 카카오 커머스 고성장 + 외부 가맹점 매출 고성장 전망

2-2-2-1 온라인(여기어때,야놀자,배달의민족,무신사,구글,애플,MS,넷플릭스,스포티파이 등) 결제기반 확대

2-2-2-2 오프라인(편의점,올리브영,롯데 계열 마트 등) 가맹점 확장

2-2-3 금융서비스 → 대출(DSR 규제), 보험(금융소비자법) 분야 규제 환경 적응이 관건

2-2-3-1 협력기관 확대, 전세자금 대출(DSR 규제 적용 X)포함한 대출서비스 영역 확대, 자체 신용평점모델 수익화, 보험서비스의 개편,재개를 통해 결제액과 매출 회복 전망

 

3. 컨텐츠 고성장

3.1 웹툰 글로벌 성장 본격화 → YoY +55% 전망

3.1.1 거래액 고성장(1.5조원 이상)

3.1.1.1 왓패드 인수를 통해 1.7억 이용자 확보, 연간 거래액 1조원 돌파, 22년 1월 월간 거래액 1000억원 돌파

3.1.1.2 크로스보더* 콘텐츠가 늘어나는 추세를 고려 22년 GMV 1.5조원 이상 달성 전망

*크로스보더 : 하나의 IP를 번역을 통해 여러 국가에서 서비스 

3.1.2 매출전환율의 지속적인 개선

3.1.2.1 웹툰 플랫폼 글로벌화에 따라 해외 비중이 확대(미국, 유럽의 네이버 수익 배분 비율이 국내 대비 높음)

3.1.2.2 분기 160억원 수준의 왓패드 광고 매출 더해짐

3.1.2.3 팬번역/전문번역 등을 통해 작가들이 같은 작품을 국내/일본/미국 등 다양한 국가에 업로드 할 수 있게 됨

3.1.2.4 웹툰 IP 해외 반응 긍정적

 

3-1 스토리 비즈니스는 글로벌 확장 지속, 미디어 영화/드라마 연간 15편 제작

3-1-1 21년 픽코마 연간 거래액 7227억원(YoY +74%)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일본 디지털 만화시장에서의 성장 보임

3-1-2 22년 픽코마는 웹(모바일 웹) 만화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일본 내 지배력 공고히하고, 프랑스 시장에 상반기 내 진출할 예정

3-1-3 북미 웹툰 플랫폼인 타파스를 중심으로 카카오의 오리지널 IP 공급 확대, 웹소설 플랫폼인 래디쉬의 원작 웹소설을 웹툰으로 재탄생시키는 노블 코믹스를 다수 선보일 예정

 

3.2 제페토 수익 가시화, 컨텐츠 확충 기대

3.2.1 4Q21 기준 2.6억명의 이용자(해외이용자 비중 90%, 10대 이용자 비중 80%), 2백만 명 이상의 크리에이터 확보

3.2.2 4Q21 MAU YoY +57% 증가, 매출 +318% 증가하며 글로벌 진출 지속, 본격적인 수익화 구간

3.2.3 제페토 발생 수익의 약 75%는 젬 판매에서, 25%는 외부 브랜드에 대한 광고를 통해 창출

3.2.4 '루노소프트'와 설립한 조인트 벤처 '피노키오' 주식 5만주(지분율 33.33%) 40억원 인수 → 아바타를 통해 참여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한 형식의 놀이 컨텐츠 도입 예상

3.2.5 21년 11월 네이버제트 USA 설립, 올해 1월 47.5억원 출자해 홍콩 자회사 네이버 Z 리미티드 설립하는 등 거점 지역에서의 서비스 확장을 통해 성장 가속화

 

3-2 Game : 오딘은 자체개발력 강화의 시작일 뿐

3-2-1 카카오게임즈는 자체 IP 확보를 위해 유망한 개발사들에 대한 선행 지분투자를 병행한 퍼블리싱 판권 계약 체결

3-2-1-1 글로벌 진출 용이, 시리즈물 제작을 통해 추가 성장 동력 확보, 지급수수료 절약

3-2-2 자체 IP 파이프라인 확보. 대작 게임 다수 대기중

3-2-3 GameFi(메타보라 중심), 메타버스(넵튠 중심), 스포츠(카카오VX + 세나테크놀로지 중심) 성장

3-2-3-1 GameFi : 오픈 플랫폼, 개별노드의 형태로 리뉴얼 예정, 보라 블록체인은 클레이튼을 메인넷으로 작동

3-2-3-2 메타버스 : 아직 투자 단계로 구체적인 내용 공개 안됨

3-2-3-3 스포츠 : 스크린골프장 브랜딩, 골프용품~예약까지 골프 전과정을 비대면으로 진행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

 

 

4. 클라우드/모빌리티 시장 선점 기대

4.1 클라우드 국내 TOP2 사업자 안착, 글로벌 진출 기대(전년 대비 최소 +27% 전망 기대)

4.1.1 국내 유일 자체적으로 개발한 원천 기술을 기반으로 IaaS*를 포함, PaaS**, SaaS***, 하이브리드 클라우드까지 보유해 고객이 원하는 형태로 상품을 개발, 제공할 수 있는 업체다.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CPU나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적인 자원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PaaS(Platform as a Service) : IaaS + 운영체제를 포함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 할 수 있는 툴과 데이터 분석을 위한 도구들까지 제공

***SaaS(Software as a Service) : Iaas + Paas + 소프트웨어(예, 음성인식 등)

 

4.1.2 국내 100대 기업 중 55%가 네이버 클라우드 활용하고 있어, AWS에 이어 2위 사업자

4.1.3 올해 행안부 주도의 공공 클라우드 전환사업 예산 2400억원(21년 500억원) 규모 예상 → 공공시장은 글로벌 사업자의 진입이 어려워 네이버,KT,NHN 3파전 전망

 

4-1 모빌리티 가맹차량 확대 지속 + 주차장 위탁 운영 성장 기대

4-1-1 매출구성 : 택시(가장 큰 비중), 대리, 주차장(제휴+위탁), 기타(킥보드,자전거 등)

4-1-1 가맹택시는 운임의 20%를 카카오 모빌리티 매출로 인식하고, 건당 최대 3천원의 호출 수수료를 카카오모빌리티와 기사가 50%씩 수취하는 비즈니스 모델

4-2 중장기 성장 동력 : 라스트마일 배송 & 디지털 트윈을 통한 자율주행 플랫폼

4-2-1 최근 M&A가 배송, 디지털트윈 및 자율주행 역량 확보에 초점

 

 

 

5. 분기 및 연간 실적 추정(연결 기준)